본문 바로가기
잡학다식

보리 종류, 찰보리, 쌀보리, 압맥의 차이는 뭔가요?

by 후와링 2018. 12. 3.

보리종류

보리 종류, 찰보리, 쌀보리, 압맥의 차이는 뭔가요? 

여러 잡곡 중 가장 입맛에 맞는 것이 보리입니다. 그래서 보리를 사려고 하면 이상하게 종류가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찰보리, 쌀보리, 압맥 이런 식으로 나뉘던데 도대체 무슨 차이가 있는 걸까요? 

옛날 어른들이 드셨다던 꽁보리밥의 꽁보리는 그럼 뭐지? 하는 의문도 듭니다만, 그건 아마도 오로지 보리로만 된 밥을 의미하는 게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보리 종류, 찰보리, 쌀보리, 압맥의 차이는 

 

쌀에도 찹쌀과 멥쌀이 있듯 보리에도 이런 찰기가 있는 것과 멥쌀처럼 끈기가 적은 것이 있다. 이것은 전분의 성질차이에 의한 것으로 찰기가 있으면 떡처럼 끈기가 있는 식감을 가지고 끈기가 적으면 좀 더 퍼석거리는 식감이 된다. 




보리 성질에 따른 분류 


메진(끈기가 적은 성질) 

: 전분이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된다. 끈기가 적고 좀 더 퍼석거리는 식감. 압맥이나 쌀보리로 가공되는 경우가 많다. 


끈기(찰기) 

: 전분의 대부분이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된다. 밥을 지으면 찰기가 강해지고 떡처럼 끈적끈적한 식감이 된다. 통보리나 쌀보리로 가공되는 경우가 많다. 



보리 가공방법에 따른 보리 종류 




압맥 (보리를 쪄서 평평하게 눌린 것 ) 

: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입장의 한가운데에 가늘게 검은 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증기로 찐 후 롤러로 꾹 눌러 평평하게 만들었다. 

보리는 그대로 먹으면 식감이 좋지않고, 쌀고 함께 밥을 지으면 흡수율이 나쁘다. 납작하게 누르면 표면적이 늘어나기 때문에 그만큼 흡수율이 좋아지고 쌀과 함께 밥을 지으면 맛있게 지을 수 있다. 



통보리 

: 외피를 벗겨내고 표면을 깎아낸 보리 

찰보리에 많은 것이 이 타입으로 찰기가 있는 식감을 살렸다. 


쌀보리 

: 쌀크기로 가공한 보리 

보리 가운데의 까만줄을 벗겨내고 거의 쌀과 같게 가공한 것으로 보리를 싫어하는 사람들도 저항감없이 먹을 수 있다. 비중이 쌀과 비숫해 밥을 지었을 때 보리가 밥 위에 모여있거나 하지 않는다. 


보리종류

인기가 있는 것은 찰보리인데 이는 수용성 식이섬유인 베타글루칸 함유량이 높은 편이다. 또한 밥을 지은 후 식어도 잘 굳지않는 편이다. 하지만 찰이라는 이름이 붙은 곡물은 당함량이 높은 편이라 당뇨병이나 혈당을 신경쓰는 사람은 주의가 필요하기도 하다. 




또한 재배에 따라서는 봄과 가을에 뿌리는 겨울보리와 봄보리로 구분하기도 하며, 또한 겉보리, 쌀보리로 구분하기도 한다. 

겉보리는 영남지방에서 주로 재배하고 추위에 더 강한 편이다. 쌀보리는 호남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다. 

또한 열매에 줄이 두개인 두줄보리, 열매에 줄이 여섯개인 여섯줄보리 등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검은보리, 검정보리, 블랙보리 등으로 불리는 흑맥도 나오고 있다. 

또한 늘보리는 겉보리를 도정한 보리이다. 


보리종류


인터넷 잡곡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보리 종류, 찰보리, 쌀보리, 압맥, 늘보리 등을 다시 한번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압맥 : 보리를 정백해서 수분과 열로 납작하게 누른 것으로 납작보리라고도 한다. 


쌀보리와 겉보리 : 속껍질과 겉껍질로 싸여있는 보리꽃이 수정되면 씨알이 된다. 씨방이 비대해지면서 씨방벽에서 점착물질이 분비되어 속껍질, 겉껍질을 씨알에 붙이는 특성이 있으면 겉보리, 점착물질을 분비하지 않아 씨알이 성숙해도 속과 겉껍질이 잘 떨어지면 쌀보리라고 한다. 


늘보리 : 보리 가운데의 까만줄이 안으로 쑥 들어가 단면이 네모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겉보리는 껍질이 있는 상태이고 늘보리는 겉보리에서 껍질이 없는 것이다. 


찰보리 : 겉보리의 일종인 강보리와 찰진 성질이 있는 쌀보리인 마산과맥을 교잡한 겉보리이다. 아밀로오스 함량이 적으며 밥의 끈기가 좋고 식어도 심하게 굳지 않고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도 높다. 



보리 종류, 찰보리, 쌀보리, 압맥의 차이는 뭔가요? 라는 질문에 겉보리, 늘보리 등 까지도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그럼에도 아직 확실하게 딱 와닿지는 않네요. 밥을 할때는 찰보리가 나을 듯한데, 또 혈당으로 고민 중이라면 피해야 할 식재료이기도 합니다

댓글